티스토리 뷰
2024년 서울시에서 새롭게 시행되는 대중교통비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후동행카드는 1월 27일 부터 이용이 가능하며 카드 구입은 1월 23일 부터 가능합니다. 기존 교통 정기권은 회수에 제한이 있었지만 기후동행카드는 저렴한 가격에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후동행카드란?
1번의 65,000원 요금 충전으로 30일간 지하철, 버스, 따릉이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교중교통통합 정기권입니다.
모바일카드, 실물카드 모두 충전 후 충전일을 포함하여 5일 이내에 사용시작일을 지정하고, 30일 동안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후동행카드 시범사업 | |
사업기간 | 2024년 1월 27일 ~ 2024년 6월 30일 (1월 23일 부터 구입 가능) |
카드종류 | 모바일카드, 실물카드 |
카드가격 | 62,000원권(서울지역 지하철, 버스) 65,000원권(서울지역 지하철, 버스 + 따릉이) |
이용범위 | 서울지역 지하철, 서울시 면허 시내·마을버스, 따릉이 ※이용제외 : 신분당선, 서울지역 외 지하철, 광역/공항버스, 타 지역 면허버스 |
기후동행 모바일카드 구매 및 충전 방법
기후동행모바일카드는 안드로이드폰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며 '모바일티머니'앱을 다운로도 받아 회원가입 후 발급 및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메인 첫화면에서 기후동행카드를 선택하고 계좌를 등록하고 계좌이체 방식으로 충전한 후 사용하시면 됩니다. 현재는 계좌이체만 가능하며 향후에 체크카드·신용카드 등으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아이폰유저는 낭만(?)있게 실물카드 이용하시면 됩니다.
기후동행 실물카드 구매 및 충전 방법
1~8호선 역사 내 실물카드 구매방법
실물카드는 1호선 서울역~청량리역 구간, 2호선에서 8호선까지 역사 고객안전실에서 현금 3천원에 구매한 후 역사 내 충전단말기에서 현금 충전하면 됩니다.
9호선 역사 내 실물카드 구매방법
9호선은 역사 내 편의점에서 신림선, 우이신설선 등은 주변 편의점에서 현금과 신용카드로 3천원에 구매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편의점에서는 기후동행카드의 충전서비스가 아직 지원되고 있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9호선, 신림선, 우이신설선 역사 내 위치한 충전단말기에서 충전할 수 있습니다.
실물카드 이용자는 반드시 '티머니 카드&페이' 홈페이지에서 카드 등록이 필요합니다. (1인 1카드 원칙)
기후동행카드 이용방법
모바일 및 실물카드를 지하철이나 버스 이용할 때 기존에 이용하듯이 태그하고 승하차를 하면 됩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하차시에 미태그를 2회 누적시에는 직전 승차 시간 기준으로 24시간 동안 사용 정지된다는 점 입니다.
6만5천원권을 구입한 경우 휴대전화 기종에 관계없이 '티머니GO'앱에서 기후동행카드 번호 16자리를 입력 후 1시간 이용권을 30일간 무제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실물카드 이용자라면 실물카드 뒷면좌측상단의 큐알코드로 접속하여 '기후동행카드'회원가입을 미리 해주어야 합니다.
기후동행카드 이용가능범위
호선 | 승하차 가능구간 |
1호선 | 온수/금천구청 ~ 도봉산 |
2호선 | 전구간 |
3호선 | 지축 ~ 오금 |
4호선 | 남태령 ~ 당고개 |
5호선 | 방화 ~ 강일/마천 |
6호선 | 전구간 |
7호선 | 온수 ~ 장암 |
8호선 | 전구간 |
9호선 | 전구간 |
우이신설선 | 전구간 |
신림선 | 전구간 |
공항철도 | 김포공항 ~ 서울역 |
경의중앙선 | 수색 ~ 양원/서울역 |
경춘선 | 청량리 ~ 신내 |
수인분당선 | 청량리 ~ 복정 |
호선 | 하차 가능구간 |
4호선 | 별내별가람 ~ 진접역 |
5호선 | 미사 ~ 하남검단산역 |
7호선 | 석남 ~ 까치울역 |
김포골드라인 | 전구간 |
진접선 | 전구간 |
자료출처 - 서울특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