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음식물 쓰레기 VS 일반 쓰레기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할 때 마다 헷갈리게 하는 것들이 있습니다.
이건 음식물 쓰레기일까? 일반 쓰레기일까? 매번 고민하다 이번에 정리를 해 보았습니다.
헷갈릴 때마다 찾아 보며 참고하려고 합니다.
2. 음식물쓰레기와 일반쓰레기를 구분하는 기준
크게 음식물쓰레기와 일반쓰레기를 구분하는 기준은 동물이 먹을 수 있는지를 기준으로 구분하게 됩니다.
가공 후에 퇴비나 사료 등으로 사용이 가능하면 음식물쓰레기로 구분하는데요~
그래도 버릴 때 마다 고민하게 되는건 어쩔 수 없습니다.
3. 음식물쓰레기기 아닌 일반쓰레기로 처리해야 하는 것들
동물뼈, 패각류 껍데기, 채소 뿌리와 대(마늘대, 고춧대 등)등 재활용 공정상 설비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것들과 최종 재활용제품(퇴비, 사료)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잇는 고추씨(캡사이신 함유)등은 일반쓰레기로 배출해야 합니다.
대파, 미나리 등의 뿌리, 옥수수 껍질, 마늘대 등은 처리시설 기계 부품에 엉킴 현상을 일으킬 우려가 있어 일반쓰레기로 배출해야 합니다.
파인애플 껍데기, 복숭아·감의 씨, 조개 같은 패류 껍데기, 육류 뼈 등 딱딱한 물질은 처리시설에서 분쇄할 때 설비 고장을 일으킬 수 있어 일반쓰레기로 배출해야 합니다.
고추씨는 퇴비화할 경우 비료 내 캡사이신 기준에 대한 우려 때문에 일반쓰레기로 배출해야 합니다.
항 목 | 음식물 쓰레기 | 비 고 |
고추장, 된장, 쌈장 | X | 염도가 너무 높아 사료나 퇴비로 부적합 |
동물뼈 | X | |
생선뼈와 생선 내장 | X | |
멸치 | O | |
파인애플 껍질, 코코넛 껍질, 아보카도 껍질 | X | 단단한 과일껍질은 일반 쓰레기 |
수박이나 멜론의 껍질 | O | 생각보다 부드러운 껍질로 음식물 쓰레기 |
바나나 껍질 | O | 딱딱한 꼭지는 일반쓰레기 |
과일의 씨 (복숭아, 망고, 아보카도, 체리 ...) | X | 딱딱한 씨앗은 일반 쓰레기 |
밤, 호두, 땅콩 등의 껍질 | X | |
김치 | X | 김치를 물에 씻는다면 음식물 쓰레기 그렇지 않다면 염도가 높아 일반 쓰레기 |
갑각류 껍질 (게, 새우 등) | X | |
계란 껍질 | X | |
채소의 마른 껍질 (양파, 마늘, 옥수수 등) | X | |
채소의 뿌리 (미나리, 대파, 쪽파 등) | X | |
옥수수 껍질, 마늘대 | X | 처리시설 기계 부품에 엉킴 현상을 일으킬 우려가 있음 |
조개껍질, 전복껍질, 소라껍질 등 | X | |
마요네즈 | X | |
라면 분말 스프 | X | |
라면 건더기 스프 | O | |
튀김가루, 부침가루 | O |
4. 비닐류 배출 방법
이전까지는 비닐류를 배출할 때 물로 깨끗하게 헹군 후 이물질을 제거한 후 버렸으나, 이제부터는 비닐류에 기름이나 음식재료 등의 이물질이 묻어 있어도 별도의 헹굼 없이
기름이나, 액체등이 묻은 비닐류도 수거 후 재활용 하는 과정에서 처리가 가능하게 되어, 비닐류의 세척은 더이상 하지 않아도 됩니다.
당연하게도 버리는 비닐 안에 음식물이 있으면 아 되겠죠. 배달음식을 시킨 후 나오는 비닐류를 이제는 액체가 기름이 묻은 상태 그대로 버려도 된답니다.
재활용 비닐
노끈, 페트병 라벨, 심각김밥 비밀, 양파망, 에어캡, 과자봉투, 일회용 커피믹스 포장지, 보온보냉팩, 비닐장갑, 음식재료 포장비닐, 일반 비닐
일반 쓰레기 비닐
마트에서 구맹하는 채소나, 과일 등을 포장하기 위해 감싼 랩은 반드시 일반쓰레기
7월부터는 분리배출 규정을 위반하면 최대 30만원까지 과태료가 부과된다고 합니다. 그러니 분리배출에 신경 쓰셔서 불이익이 없도록 유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