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물가는 오르는데 급여는 계속 제자리... 오히려 급여는 점점 줄어드는 느낌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청년들의 목돈마련을 위한 정보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중장기적 자산형성 즉, 목돈마련을 지원하기 위해 추진된 금융상품으로 6월 중 출시 예정입니다.
매달 70만원 한도로 일정 금액을 5년간 납입하면 정부 지원금과 은행 이자를 더한 금액을 만기 시 수령 가능 합니다.
◆ 청년도약계좌 가입신청 대상
만 19세~34세 청년으로 개인소득과 가구소득기준을 충족한 자에 한합니다. 군필자의 경우 최대 6년까지 연장가능합니다.
- 개인소득 6,000만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병역이행기간(최대 6년)은 연령 계산 시 미산입
- 개인소득 6,000 ~ 7,500만원, 기중 중위소득 180% 이하 청년도 가입은 가능하나 정부 기여금 지급없이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만 부여
가구원 수 | 기준 중위소득 180% |
1인 | 374만원 |
2인 | 622.1만원 |
3인 | 798.2만원 |
4인 | 972.1만원 |
5인 | 1,139.5만원 |
6인 | 1,301만원 |
◆ 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
현재 6월 가입을 개시하여 12월까지 매월 가입신청을 받을 예정입니다.
매월 2주간 가입신청을 받아 가입신청 후 2~3주 내에 심사를 완료하여 결과통보 예정입니다.
◆ 청년도약계좌 심사 절차와 준비서류
가입신청 청년의 개인소득, 가구소득 심사를 거쳐 최종 가입가능여부가 결정됩니다.
현재 취급기관 앱(App)등 비대면 가입이 가능하도록 준비 중이며, 별도서류 없이 비대면 본인인증, 소득확인 등을 통해 가입 가능하도록 추진 중입니다.
다만, 만 34세 초과자의 군대경력 인증서류, 소득심사 결과에 따른 이의신청자 등의 경우 추가 서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개인소득에 따른 기여금 지급한도
개인소득(총급여 기준) | 기여금 지급한도(월) | 기여금 매칭비율 | 기여금 한도(월) |
2,400만원 ↓ | ~40만원 | 6.0% | 2.4만원 |
3,600만원 ↓ | ~50만원 | 4.6% | 2.3만원 |
4,800만원 ↓ | ~60만원 | 3.7% | 2.2만원 |
6,000만원 ↓ | ~70만원 | 3.0% | 2.1만원 |
7,500만원 ↓ | - | - | - |
◆ 청년도약계좌 내용
구 분 | 내 용 | |
만기기간 | 5년 | |
납입한도 | 월 70만원 한도 | |
주요 혜택 | 정부 기여금 | 소득 수준에 따라 3~6% 지급 (월 2.1 ~ 2.4만원) |
시중은행 금리 | 금리 수준은 미정 | |
비과세 혜택 | 이자소득 전액 비과세 혜택 | |
만기금액 | 약 5,000만원 |
*시중은행 금리는 가입 후 3년(이상) 고정금리 적용
*저소득층청년(2,400만원 이하)은 우대금리 부여
◆ 가입 이후 소득 변동
만기가 5년인 상품으로 가입일로부터 1년을 주기로 개인소득 현행화를 통해 유지심사를 시행하며, 해당 심사결과에 따라 정부기여금 지급여부.규모가 조정됩니다.
*가구원 변동 등(이혼.독립.사망 등) 가입자의 개인소득과 무관한 사유로 기여금 지급이 중단될 수 있으므로 가구소득은 유지심사에서 제외하며, 유지심사 결과 개인소득 6,000만원(총급여 기준) 초과시 다음 유지심사시까지 정부기여금 지급이 중단됩니다.
*다음 유지심사에서 개인소득 6,000만원(총급여 기준) 이하일 경우 그 이후 유지심사시까지 정부기여금 재지급
※비과세 혜택은 가입시 개인.가구 소득요건을 충족한다며, 만기까지 유지됩니다.
◆ 중도해지
해지사유가 특별중도해지 요건에 해당된다면, 본인 납입금 외 정부기여금이 지급되며, 비과세혜택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특별중도해지 요건은 『조세특례제한법』에 규정된 ①가입자의 사망.해외이주 ②가입자의 퇴직 ③사업장의 폐업 ④천재지변 ⑤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 ⑥생애최초 주택구입 입니다.
다만, 일반적인 중도해지의 경우 본인이 납입한 부분만 지급되고,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혜택도 지원받을 수 없습니다.
◆ 청년도약계좌 중복가입
청년도약계좌와 사업목적이 유사한 청년희망적금은 청년도약계좌에 순차가입 (만기 후 가입) 즉, 중복가입은 불가 하다
청년내일저축계좌, 복지 목적의 지자체 지원상품 동시가입 허용
청년(재직자)내일채움공제, 고용지원 목적의 지자체 지원상품 동시가입 허용
5년이라는 장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는 끈기와 재정상태가 꼭 필요하겠습니다. 5년은 너무나 길고 지루한 시간 입니다.
목돈마련을 위해 중도포기 하지 마시고 꼭 유지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