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사업은 만 19세 ~ 만 24세 청년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여주고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해 시행되는 지원이며, 연간 10만원 한도의 교통마일리지를 지급하는 사업입니다. 1. 지원대상 신청일(2023년 3월 28일 ~ 2023년 5월 31일) 기준으로 주민등록상 거주지가 서울시이면서 만 19세 ~ 만 24세 (1998년 1월 1일 ~ 2004년 12월 31일 출생)인 청년을 지원대상으로 합니다. 2. 신청기간 2023년 3월 28일 (화) 10:00 ~ 2023년 5월 31일 (수) 17:00 3. 지원금액 등록된 교통카드 이용 금액의 20%, 연간 최대 10만원 2023년 1월 1일 ~ 2023년 12월 31일에 이용한 교통카드 결제내역을 정산한 금액의 20%를 교통마일리지로 적립..

코로나19의 장기화로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들을 위해서 2022년 8월 부터 2024년까지 한시적으로 지원하는 서비스로 월 주기로 현금으로 지급하여 지원 합니다. 경기도 좋지 않아 요즘은 취업도 쉽지 않고 경제도 좋은 상황은 아니라 혼자 생활하는 청년들에게 주거비는 많은 부담이 되고 있는데요. 신청조건에 해당되는 분들은 이 지원을 충분히 잘 활용하셨으면 합니다. 1. 지원대상의 조건 1) 연 령 : 만 19세 ~ 만 34세의 무주택 독립거주인 청년 2) 보증금, 월세 조건 : 보증금은 5,000만원 이하이고, 월세는 60만원 이하여야 지원이 가능합니다만 월세가 60만원이 초과되었다면 보증금의 월세 환산액(환산율 2.5%)과 월세금액의 합계가 70만원 이하인 경우는 지원이 가능합니다. 3) 소..

요즘 비염 때문에 고생하면서 약을 먹고 있습니다. 약이 너무 먹기 싫다라는 생각을 하던 중 갑자기 난 지금 무슨 약을 먹고 있지? 라는 생각이 들면서 갑자기 궁금해 졌습니다. 물론 요즘은 약봉지에 나와 있기는 하지만, 방법은 없는지 찾아 봤습니다. 예전에는 그냥 아무 생각 없이 약 주는 대로 복용 했는데, 어느 순간 내가 무슨 약을 먹는지는 알아야 겠다는 생각이 들어 찬찬히 들여다 보기 시작했습니다. 알아보니 최근 1년간 병원.약국에서 조제 받은 의약품 투약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가 있었습니다. 이름하여 『내가 먹는약! 한눈에 서비스』 입니다. 최근 1년간의 의약품 투약내역 및 개인별 의약품 알러지.부작용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 입니다. 너무나 유용하게 느껴지는 정보입니다. 이 서비스는 ..

벌써 4월도 거의 다 지나가고 있습니다. 곧 5월이네요~ 5월의 첫째 날은 월요일이고, 근로자의 날입니다. 모처럼의 연휴 입니다. 근로자의 날은 어떤날인가? 법정 공휴일인가? 공휴일이 아닌가? 과연 나는 쉴 수 있는가? 이런 생각들은 간혹 하게 됩니다. 사실 근로자의 날은 근로자의 근무 의욕을 높이고 노고를 위로하기 위하여 제정된 공휴일이 아닌 법정 기념일입니다. 1973년 3월 30일에 제정.공포 되었다가 1994년 부터 5월 1일을 근로자의 날로 기념하고 있습니다. 근로자의 날은 공휴일이 아닌 유급휴일로 사업주 재량이나 회사 내부 사정에 따라 휴무 여부를 정합니다. 학교, 공무원, 시.군.구청 등의 공공기관은 정상적으로 운영됩니다. 다만, 지자체별로 특별휴가를 부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근로자의 날은..

2015년 12월 금융위는 비대면 실명확인을 허용 하지만, 금융사고의 방지를 위해 명의자 본인만 이용 하도록 대상을 제한하였었습니다. 그러나 2023년 4월 10일 부터 법정대리인인 부모가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미성년 자녀를 대리하여 자녀 명의의 계좌를 비대면으로 개설하는 것을 허용합니다. 기존의 미성년 자녀의 통장을 개설할 경우 만 14세미만의 미성년 자녀와 만14세이상의 미성년 자녀가 직접 신청하는 경우와 만 14세 이상 미성년 자녀의 부모가 방문 하는 경우 필요서류가 달라 서류를 조건별로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습니다. 현재 금융사별 서비스 도입 일정은 상이하며 금융사는 부모의 신분증, 부모 및 미성년 자녀의 가족관계증명서 등을 통해 부모의 신원과 권한, 자녀의 실지명의를 직접 확인한 후 계..

물가는 오르는데 급여는 계속 제자리... 오히려 급여는 점점 줄어드는 느낌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청년들의 목돈마련을 위한 정보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중장기적 자산형성 즉, 목돈마련을 지원하기 위해 추진된 금융상품으로 6월 중 출시 예정입니다. 매달 70만원 한도로 일정 금액을 5년간 납입하면 정부 지원금과 은행 이자를 더한 금액을 만기 시 수령 가능 합니다. ◆ 청년도약계좌 가입신청 대상 만 19세~34세 청년으로 개인소득과 가구소득기준을 충족한 자에 한합니다. 군필자의 경우 최대 6년까지 연장가능합니다. - 개인소득 6,000만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병역이행기간(최대 6년)은 연령 계산 시 미산입 - 개인소득 6,000 ~ 7,500만원, 기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