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동생이 중고차를 구입할 때 카히스토리를 통해 사고이력을 조회했습니다. 카히스토리는 유료서비스 입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카히스토리에서 중고차사고이력을 조회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카히스토리에 접속을 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침수차량만 조회를 원할 경우 무료침수차량조회를 이용하시면 되며, 물론 보험처리를 한 침수차량이 확인되는 것입니다.
사고이력조회에서 조회하실 차량번호를 입력하고 조회하기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이경우 차량번호를 차대번호로 선택하고 차대번호를 입력하고 조회하시는 경우도 있는데, 현재 주행중인 차량에 대해서는 차량번호로만 조회 가능합니다.
차량번호를 입력하고 조회를 하면 제공정보의 누락, 오류 등의 서비스의 한계에 대한 내용과 함께 해당내용을 확인했다는 동의를 해주셔야 합니다.
동의를 하시면 조회하시려는 차량이 조회 가능한 차량인지 여부가 확인됩니다.
조회 수수료는 휴대폰인증을 할 경우에는 1년에 5건까지 1건당 770원으로 조회할 수 있으며, 휴대폰인증을 원치 않을 경우 또는 휴대폰인증을 한 경우에도 1년 5건을 초과했을 경우에는 1건당 2,200원의 조회 수수료를 결제하셔야 합니다.
결제를 하고 나면 해당차량의 사고이력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손사고가 있었는지, 특수용도이력이 있었는지 소유자변경이나 차량번호 변경은 몇 번이나 있었는지 등도 같이 확인됩니다.
조회시 내차피해는 내차를 그러니까 현재 조회하고 있는 차량을 수리한 것이고, 상대차 피해는 내보험으로 상대방차량을 수리해 준 것을 말합니다.
사고이력 조회를 하면 해당차량의 일반사양 정보와 특수용도 이력이 있는지 여부도 확인 가능합니다.
영업용도(대여용)은 보통 렌트카, 영업용도(일반)은 택시를 말합니다.
해당차량의 자동차 번호 및 소유자변경한 이력도 확인 가능합니다.
변경회수 정도만 확인되며, 변경사유라든지 하는 정보는 확인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중고차사고이력조회를 하는 가장 큰 이유인 보험사고이력 상세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말그대로 보험사고이력이기 때문에, 보험처리를 하지 않은 사고는 확인할 수 없으며 보험사가 아닌 공제등에서 처리한 사고 또한 확인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말한 미가입기간이라 함은 자차보험을 가입하지 않은 기간을 말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주행거리정보도 제공합니다.